이 웹사이트는 대한민국 공식 전자정부 웹사이트 입니다.

웹사이트 정보 안내 >

고용노동부 지역고용정보 네트워크

지역일자리 목표 공시제
  • 지역고용이란
  • 주요사업소개
  • 지역일자리 목표 공시제

개요

지방자치단체장이 해당 지역의 주민들에게 임기 중 추진할 일자리 목표 및 대책을 수립하여 공표하며,
중앙정부는 자치단체의 일자리대책이 원활하게 추진될 수 있도록 지원하고, 추진성과를 확인하여 우수자치단체에 인센티브 등을 제공하는 제도입니다.
일자리창출에 대한 지역의 자율성을 높이면서 책임성도 함께 확보하기 위하여 2010년부터 도입·시행하였고, 2012년부터는 전국 모든 자치단체가 참여하고 있습니다.

자율성 : 지역특성 반영 자율계획 수립, 책임성 : 지역주민 공표 추진성과 확인. 지역일자리 목표 공시제는 중앙과 지방이 소통하면서 지역 특성에 맞는 일자리 대책을 추진하여, 지방자치단체장의 일자리 친화적 지방행정을 유도하는 지역고용 활성화 전략입니다.

근거

고용정책기본법 제9조의2 (지역 일자리 창출대책의 수립 등)

내용

공시 주체 : 광역자치단체의 시·도지사, 기초자치단체의 시장·군수·구청장
공시 내용 : 자치단체장이 임기 중 달성하고자 하는 일자리 목표와 그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 추진할 구체적인 일자리 대책을 수립하여 공시

* 지역별 일자리 목표 및 일자리 대책은 자치단체장의 임기와 연계하여 종합계획 및 연차별 세부계획으로 구분 공시

종합계획(4년), 연차별 세부계획(매년)에 따른 내용을 나타낸 표
종합계획(4년) 연차별 세부계획(매년)
자치단체장 임기 첫해 수립
(임기 4년간의 종합계획)
임기 중 매년 초 수립
(종합계획의 실행을 위한 당해 연도 세부시행계획)

공시 방법 : 자치단체 홈페이지, 지역 언론, 주민대상 설명회 등 다양한 방법으로 지역 주민들에게 공시

* 자치단체별 공시 자료는 지역고용정보네트워크(공시현황)에 게시하여 자치단체 간 정보 공유

평가 및 시상

자치단체별 공시제 추진실적을 평가하여, 매년 「전국 지방자치단체 일자리대상」에서 우수 자치단체를 선정하여 시상

전국 지방자치단체 일자리대상 - 자치단체의 일자리 창출 노력 및 성과를 알리고 사회적 관심을 재고하기 위해 2012년부터 매년 전국 지방자치단체 일자리대상 개최하고 있음 - 매년 지역고용정책 우수 자치단체를 선정하여 대통령상(종합대상), 국무총리상(부문별대상), 고용노동부장관상(최우수상, 우수상, 특별상) 시상 및 인센티브 제공 - 2012년 이후 전국 지방자치단체가 모두 참여, 지역일자리 성과를 공유·확산하는 우리나라 대표적 지역일자리 한마당으로 자리매김